Fourier Transform
시간이나 공간에 대한 함수를 시간 또는 공간 주파수 성분으로 분해하는 변환
is a transform that converts a function into a form that describes the frequencies present in the original function.
Fourier Series
$sin$ 과 $cos$ 의 무한한 합으로 주기 함수 $f(x)$를 확장한 것이다. 사인 및 코사인 함수의 직교(orthogonality) 관계를 활용한다.
A Fourier series is an expansion of a periodic function f(x) in terms of an infinite sum of sines and cosines. Fourier series make use of the orthogonality relationships of the sine and cosine functions.
Fourier Series 의 계산을 ‘Harmonic Analysis’ 라고 칭한다. 이는 임의의 periodic 함수를 간단한 항들로 분해하고 이 항들을 개별적으로 해결한 뒤, 원 문제의 해결책 또는 원하는 정확도로의 근사치를 얻기 위해 이들을 재결합 하는 데 매우 유용하다.
즉, 어떤 주기적 함수든 서로 다른 주파수의 $sin$ 및 $cos$ 의 합으로 표현할 수 있다.
Theoretical Overview
목표:
- 복잡한 periodic 함수를 더 단순한 사인 및 코사인 함수의 합으로 표현, 분석한다.
- Additional explain
- $a_0$: Default(or mean)값을 나타내며, 이는 급수의 0차 항이다.
- $a_n, b_n$: 각각 cos, sin 항의 계수이며, 이는 급수의 n차 항의 중요도를 나타낸다.
- 각 계수는 아래의 통합을 사용하여 계산한다.
- $T$: Periodic 함수 $f(x)$ 의 주기이다.
- $\omega$: 각속도. $\omega=\frac{2\pi}{T}$ 이다.
- $n$: 양의 정수로, 급수의 항을 결정.
- 적분 $\int$: 특정 구간 $[\frac{-T}{2},\frac{T}{2}]$ 에서 함수 $f(x)$ 의 면적을 계산한다.
- 위 계수는 주어진 함수 $f(x)$를 cos 과 sin 함수들의 합으로 근사화 하는데 사용된다.
- 각 cos 과 sin 함수는 함수 $f(x)$ 의 특정한 진동 또는 파장을 나타낸다.
- $a_n, b_n$ 은 이 각각의 함수들이 합쳐질 때 $f(x)$ 에 기여하는 정도를 결정한다.
- $a_0$ 은 함수의 전반적인 수준 (또는 offset)을 제공한다.
Calculating Coefficients (E.g.)
- 두 함수 $f_1(x)~=~\textrm{cos}(x)$ 와, $f_2~=~\textrm{sin}(x)$ 가
- $[-\pi,\pi]$ 구간에서 complete orthogonal system(완전한 직교 시스템)을 형성할 때,
- 푸리에 급수는 어떠한 함수 $f(x)$ 의 근사를 다음과 같이 도출할 수 있다.
- 위 각각의 계수 $a_n, b_n$은 함수 $f(x)$를 삼각함수,
- i.e., $cos(nx)$ 와 $sin(nx)$ 로 분해하는 데 사용되며, 이 삼각 함수들은 직교한다.
- 이 직교성은 크로네커 델타 $(\delta_{mn})$ 와 관련되어 있다.
- 이는 다음과 같이 정의할 수 있다.
- $m$, $n$: 양의 정수.
- $\delta_{mn}$: 크로네커 델타. $m=n$ 일 때 1이고, 그러하지 않을 때 0
- 직교성은 fourier 계수를 찾는 데 사용되는 적분을 단순화 하는 데 도움된다.
Kronecker Delta
- 이산 시간 시스템에서 사용.
- 두 인덱스 i, j 가 같을 때 1. 이 외의 값에서는 0
- 주로 시퀸스 데이터나 벡터 내 특정 위치의 값을 선택하는 데 사용
Complex Fourier Series
실수 영역에서의 푸리에 급수를 복소수 영역으로 확장
Impulse (Delta)
Definition
- 연속 시간 시스템(linear) 시스템에서 사용한다.
- $t=0$ 에서의 값은 $\infty$. 이 외의 모든 지점에서 0의 값을 가진다.
- 전체 영역에서의 적분 값: $\int\infty{-\infty}\delta(t)dt=1$
- t = time
- Impulse 함수는 무한대의 진폭과 0의 지속 시간을 가지는 스파이크 형태를 띄며, 총 면적은 1이다.
Feature
- 다른 함수와의 적분에서, 특정 지점의 값을 추출하는 (sifting) 속성을 가진다.
- $\int\infty{-\infty}f(t)\delta(t-t_0)dt=f(t_0)$
- $t_0$: 임의의 시점에서의 함수 $f(t)$ 값을 추출하는 것을 의미한다.
- 순간적인 변화를 측정
Impulse train
- $s_{\triangle T}(t)$
- impulse train 은 일정한 간격 $\triangle T$ 로 무한히 많은 impulse 의 합으로 구성된다.
- 수학적으로, impulse train 은 아래와 같이 표현한다.
- 이 표현은 시간 축 상에서 간격 $\triangle T$ 로 무한히 많은 임펄스들이 위치한다는 것을 나타낸다.
Impulse and there sifting properties
Definition
- 이산 임펄스 함수의 정의
- x: assume, 이산 값
- 이산 impulse 값은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.
- 주어진 식의 합성은 다음과 같이 제약된다. $\sum^{\infty}_{x=-\infty}\delta(x)=1$
- I.e., 모든 $x$ 값에 대한 $\delta(x)$ 의 합은 1이다.
Sifting Property
- $\sum^{\infty}_{x=-\infty}f(x)\delta(x)=f(0)$
- 연속 시간에서의 임펄스 함수의 체(sifting) 에 따른 속성과 유사하게, 이산 임펄스 함수가 특정 지점에서의 함수 f(x)의 값을 추출
- 임의의 지점 $x_0$일 때, $\sum^{\infty}_{x=-\infty}f(x)\delta(x-x_0)=f(x_0)$
- 이는, 임펄스 함수가 $x_0$ 에서의 함수 f(x)의 값을 추출
- 이는, 임펄스 함수가 $x_0$ 에서의 함수 f(x)의 값을 추출
Sampling
샘플링은 연속적인 아날로그 신호를 이산적인 값들의 수열로 변환하여 디지털 화 하는 것.
- 연속 함수를 이산 값의 수열로 변환
- Convert continuous functions into a sequence of discrete values
- 연속 함수 $f(t)$ 를 일정 간격 $\triangle T$로 샘플링한다.
- $\tilde f(t)$: 샘플링 된 함수
- 각 구성 요소는 임펄스 위치에서 $f(t)$ 의 값으로 가중치가 부여된 임펄스이다.
Arbitrary sample in the sampled sequence
샘플링 된 수열에서의 임의의 샘플
- 시간 $k\triangle T$ 에서의 $f(t)$의 값이 샘플링 된 수열에서의 $k$ 번째 샘플 값과 같음을 나타낸다.
Fourier transform of sampled functions
샘플링 된 함수의 푸리에 변환
- $\star$: 병렬 연산
- results: 원래 함수 $f(t)$ 의 푸리에 변환 $F(\mu)$ 와 임펄스 트레인 $s_{\triangle T}(t)$ 의 푸리에 변환 $S(\mu)$ 간의 병렬 연산의 결과이다.
Impulse Train
임펄스 트레인의 푸리에 변환:
- 임펄스 트레인 $s_{\triangle T}(t)$ 의 푸리에 변환은 다음과 같다:
-
임펄스 트레인이 주파수 영역에서 어떻게 나타나는지 보여준다.
- 샘플링 된 함수의 푸리에 변환의 세부 계산:
- $\tilde{F}(\mu) = \frac{1}{\triangle T}\sum^{\infty}_{n=-\infty}F(\mu -\frac{n}{\triangle T}$
- 원래함수 $f(t)$ 의 푸리에 변환 $F(\mu)$ 가 샘플링 간격 $\triangle T$에 따라, 주파수 영역에서 반복된다.
Feature of transform
- 샘플링 된 함수의 푸리에 변환은, 원래 연속 함수의 변환의 무한하고 주기적인 복사본으로 이루어져 있다.
- 복사본 간의 간격은 $\frac{1}{\triangle T}$ 의 값에 의해 결정된다.
Sampling Theorem
대역 제한 함수:
- 고려해야 할 함수는 특정 최대 주파수 $\mu_{\textrm{max}}$ 를 넘지 않는 대역 제한 함수이다.
샘플링 간격:
- 높은 $\triangle T$ 값에서는 $\tilde F(\mu)$ 의 주기가 합쳐집니다.
- 낮은 $\triangle T$ 값에서는 주기 사이에 깔끔한 분리가 있습니다.
Sufficient Separation:
Sufficient separation(충분한 분리):
- 샘플링 이론에 따르면, 연속적인 신호를 디지털로 변환하려면 그 신호의 최대 주파수의 두 배 이상으로 샘플링을 해야 한다.
- 충분한 분리는, $\frac{1}{2\triangle T}~>~\mu_{\textrm{max}}$ 또는 $\frac{1}{\triangle T}2\mu_{\textrm{max}}$ 조건을 만족할 때 보장된다.
- 이를 샘플링 이론이라고 하며, 이것은 디지털화된 신호를 연속적인 신호로 완벽하게 복구할 수 있는 조건을 제시한다.
- 가장 중요한 점은 함수의 가장 높은 주파수 성분의 두 배보다 더 높은 속도로 샘플링해야 한다는 것이다. 이를 나일퀴스트(Nyquist) 샘플링 정리라고도 한다.
Nyquist Rate
함수 내의 최대 주파수의 두 배로 정확한 샘플링 비율을 의미한다.
- I.e., $\frac{1}{\triangle T}~>~2\mu_{\textrm{max}}$
- 함수의 샘플링 비율에 대한 한계 조건은 $\frac{1}{\triangle T}~>~2\mu_{\textrm{max}}$
- Nyquist rate 보다 높은 비율로 샘플링 된 함수에서 원래의 $F(\mu)$ 를 복구할 수 있다.
- $H(\mu)$ 는 저주파 통과 필터 (lowpass filter) 로 정의된다.
- 이는 주파수가 $-\mu_{\textrm{max}}$ 와 $\mu_{\textrm{max}}$ 사이일 때, $\triangle T$ 값이고 그 외의 경우에는 0이다.
- 이는 연속적인 신호를 디지털로 변환할 때 신호의 본래 정보를 손실 없이 전달하기 위한 최소 샘플링 비율을 결정하는 데 중요하다.
- 나이퀴스트 비율은 이 최소 샘플링 비율을 정의하며, 이 비율보다 낮게 샘플링하면 신호의 정보가 손실되게 되어 ‘에일리어싱’이라는 현상이 발생한다.
Aliasing
디지털 신호 처리에서 에일리어싱은 ‘잘못된 신호’ 또는 ‘가명 신호’를 생성하는 현상
- 에일리어싱은 샘플링 과정에서 발생한다. 특히, 신호의 주파수가 샘플링 비율의 절반보다 큰 경우, 샘플링된 신호는 원본 신호의 주파수와 다른 주파수를 가진 것처럼 나타날 수 있다.
- 이는 에일리어싱이 발생한 것으로, 두 신호를 구분할 수 없게 만든다.
- E.g., 두 개의 다른 사인파를 생각해보면, 두 사인파는 원래의 연속적인 형태에서는 서로 다르게 보인다.
- 그러나 만약 이 두 사인파를 적절하지 않은 낮은 샘플링 비율로 샘플링한다면, 샘플링된 두 신호는 동일하게 보일 수 있다.
- 이렇게 서로 다른 두 신호가 샘플링 후에 동일하게 보이는 현상을 에일리어싱이라고 한다.
- 에일리어싱 현상을 방지하려면, 샘플링하기 전에 신호의 높은 주파수 성분을 제거해야 한다.
- 이를 위해 낮은 주파수를 통과시키는 필터, 즉 로우패스 필터(Low-pass filter)를 사용하여 𝜇𝑚𝑎𝑥보다 높은 주파수 성분을 제거한다.
Fourier Transform
푸리에 급수를 일반화한 형태로, L이 무한대로 가는 극한에서 복소 푸리에 급수의 일반화이다.
- 이산형 $A_n$ 을 연속형 $F(k)dk$로 바꾸고, $\frac{n}{L}$ 을 k 로 변환한다.
-
그 후, 합 (sum)을 적분 (integral)로 변경하면 식이 변형된다.
- 아래는 푸리에 변환과 역푸리에 변환의 formula 이다.
- $F(k)$: $f(x)$ 의 푸리에 변환이다.
- $f(x)$: $F(k)$ 의 역푸리에 변환이다.
- k: 주파수 공간에서의 변수이다.
- $e^{2\pi ikx}$, $e^{-2\pi ikx}$: 각각 복소 지수 함수에서의 Positive 및 Negative 회전을 나타낸다.
- $e$: 오일러 수 (Euler’s number). 수학 상수로, 그 값은 대략 2.71828입니다. 복소수에서 지수 함수로 사용될 때 특별한 특성을 가진다.
- $2\pi$: 주기적인 함수나 신호에서 한 주기를 나타냅니다. 삼각 함수$(\sin,\cos)$의 주기는 $2\pi$이기 때문에, 이를 사용하여 주기적인 신호를 표현
- $j$ or $i$: 허수 단위입니다. 일반적으로 전기공학에서는 $j$ 를 사용하며, 순수 수학에서는 $i$ 를 사용. $j^2=-1$ or $i^2=-1$
- $k$: 주파수를 나타내는 인덱스 또는 변수입니다. 푸리에 변환에서 $k$ 는 연속적인 주파수를 나타내고, 푸리에 급수에서는 정수 주파수를 나타낸다.
- $x$: 시간 또는 공간 변수입니다. 신호나 함수의 독립 변수로 사용.
- 복소수의 지수 표현인 $e^{j\theta}$ 는 오일러 공식을 사용하여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.
- $e^{j\theta}=\cos(\theta)+j\sin(\theta)$
종류
Continuous Fourier Transform (CFT, 연속 푸리에 변환)
연속적인 시간 신호를 주파수 도메인으로 변환 시간 영역에서 복잡한 신호를 주파수 영역에서 각 주파수 성분으로 분해한다.
- $F(k)$: 신호 $f(x)$의 푸리에 변환 결과
- $k$: 주파수 변수. 변환된 신호의 주파수 성분을 나타낸다.
- $\int^{\infty}_{-\infty}$: $-\infty$ 에서 $\infty$ 까지의 적분
- $e^{-2\pi ikx}$: 복소 지수 함수. 신호의 각 주파수 성분을 회전으로 표현한다.
Discrete Fourier Transform (DFT, 이산 푸리에 변환)
시간 영역에서 이산적인 신호를 주파수 영역으로 변환하는 데 사용되는 기법 DFT 는 연속적인 신호를 샘플링하여 얻은 이산 데이터에 적용
- $X[k]$: 출력의 주파수 도메인에서의 k 번째 값
- $x[n]$: 입력 신호의 n 번째 샘플
- $N$: 총 샘플의 개수
- $e^{-j(2\pi nk)~/~N}$: 신호의 회전과 관련된 복소 지수 함수
Spatial aliasing
특성 및 한계
- 해상도 한계: DFT 는 주파수 영역의 해상도가 제한적이기 때문에 실제 연속 신호의 모든 세부 정보를 캡처하지 못한다.
- 계산 복잡도: DFT 는 데이터 포인트의 수에 따라 계산 복잡도가 증가하는 단점이 있다.
- 이 문제는 빠른 푸리에 변환(Fast Fourier Transform, FFT)을 사용하여 부분적으로 해결할 수 있다.
Fast Fourier Transform (FFT, 빠른 푸리에 변환)
이산 푸리에 변환(Discrete Fourier Transform, DFT)을 효과적이고 빠르게 계산하기 위한 알고리즘. DFT 의 계산 복잡도를 상당히 줄여주어, 대용량 데이터에 대한 푸리에 변환을 실시간 혹은 빠른 시간 내에 계산 가능
- 일반적으로 DFT 의 계산 복잡도는 $O(N^2)$이다.
-
신호의 샘플 수가 많아지면 계산 시간이 지수적으로 증가한다.
- 아래는 FFT 의 기본 알고리즘을 바탕으로, 가장 흔히 사용되는 Cooley-Tukey 알고리즘이다.
- 재귀적으로 DFT 를 더 작은 DFTs 로 분해하는 방법이다.
- 첫 번째 합은 짝수 인덱스, 두 번째 합은 홀수 인덱스에 해당한다.
- 위 알고리즘은 기존 DFT 알고리즘의 계산복잡도인 $O(N^2)$를 $O(N\textrm{log}N)$ 으로 줄인다.
Fourier Transform 의 성질
Linearity (선형성)
- 선형성의 원리는 푸리에 변환이 선형 연산자라는 것을 나타낸다.
- a, b: 스칼라 상수, f, g: 변환 할 함수이다.
- 함수의 선형 조합에 대한 푸리에 변환은 각 함수의 푸리에 변환의 동일한 선형 조합과 같다.
- 두 개의 신호를 더하거나 상수배한 신호에 대한 푸리에 변환을 간단히 할 수 있다.
Time Shift (시간 이동)
- 시간 이동 성질은 함수에 복소 지수를 곱하여 주어진 신호를 시간 축으로 이동시키면 주파수 영역에서는 주파수를 변환하지 않고 단순히 위치만 이동시킨다.
- a 는 이동량.
- 실제 시스템에서 신호의 타임 딜레이를 모델링하는 데 유용하다.
Frequency Shift (주파수 이동)
- 주파수 이동은 신호가 시간 영역에서 이동할 때 주파수 영역에서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보여준다.
- 시간 영역에서의 이동 a 는 주파수 영역에서는 $e^{−2pi ika}$ 만큼의 복소 지수 변환을 가져온다,
- 주파수 성분들이 같은 크기를 유지하면서 단순히 위상만 변경된다는 것을 의미한다.
Inverse Fourier Transform
- 함수를 주파수 도메인에서 시간 도메인으로 매핑
- 주파수 도메인 표현에서 시간 도메인 함수를 재구성
Feature
- 손실 없는 변환: 시간 도메인과 주파수 도메인 간의 왕복은 손실 없이 이루어져야 하며, 변환 과정에서 정보가 손실되지 않아야 한다.
- 대칭성: 푸리에 변환과 그 역변환은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, 수학적 형태에서 강력한 대칭성을 공유한다.
- 재구성: 주파수 도메인 표현이 정확하고 완전하다면 역변환은 원래의 시간 도메인 신호를 정확하게 재구성한다.
Synthesis & Analysis
Synthesis
- 정의: 합성은 다양한 주파수 성분들, 주로 사인과 코사인 함수 또는 복소 지수 함수의 형태를 가지는 기저함수들을 조합하여 원하는 신호를 만드는 과정이다.
- 수학적 표현: 주어진 주파수 성분들의 선형 조합을 통해 원래의 시간 도메인 신호를 재구축한다.
- e.g., 주어진 주파수 성분들 $c_n$ 과 기저함수 $e^{2\pi inf_0t}$ 를 사용하여 신호를 합성할 수 있다.
- e.g., 주어진 주파수 성분들 $c_n$ 과 기저함수 $e^{2\pi inf_0t}$ 를 사용하여 신호를 합성할 수 있다.
Analysis
- 정의: 분석은 신호를 기본 주파수 성분으로 분해하여 그 신호가 어떤 주파수 성분들로 이루어져 있는지 파악하는 과정이다.
- 푸리에 변환을 이용한 분석: 신호 $x(t)$ 의 주파수 성분을 알기 위해, 푸리에 변환을 사용하여 그 신호를 주파수 도메인으로 변환한다.
- 신호의 푸리에 변환은 다음과 같이 표현된다.
- $X(f)$: 주파수 도메인에서의 신호. 각 주파수 성분의 강도
- 신호의 푸리에 변환은 다음과 같이 표현된다.
Complex Numbers
- R: 복소수의 실수.
- I: 허수.
- j: $\sqrt{-1}$.
- 켤례 복소수(Conjugate): $C^*=R-jI$
Represent in polar coordinates
- 극좌표
- Length of the vector extending from the origin to point $(R,I)$
- $\theta$: Angle between the vector and the real axis
- $\tan\theta~=~\frac{I}{R}\rightarrow\theta~=~\arctan(\frac{I}{R})$
Euler’s Formula
- 오일러 공식
- $\therefore C=|C|e^{j\theta}$
Convolution
Definition
- 두 연속 함수 $f(t), h(t)$ 의 convolution 은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.
- $f, h$ 의 각 시간 지점에서의 값을 “Flip” 하고, “Slide” 하며 곱한 결과를 적분하여 합성된 결과를 얻는 것.
Fourier Transform by Convolution
- $(f\star h)(t)$ 의 Fourier transform 은 다음과 같이 표현괸다.
푸리에 변환의 합성 속성
- 컨볼루션의 결과의 푸리에 변환은 원래 함수들의 푸리에 변화의 곱과 같다.
- I.e., $F{(f\star h)(t)}=F(\mu)\cdot H(\mu)$
- $F(\mu), H(\mu)$ 는 각각 $f(t), h(t)$ 의 푸리에 변환을 나타낸다.
Leave a comment