4 minute read

이미지의 경계나 세부 정보를 강조하여 더 뚜렷하게 만들기 위한 처리 기법

Sharpening



  • Sharpening highlights transitions in intensity
  • 주로 이미지의 1차 또는 2차 도함수(미분)를 기반으로 한다.
    • 두 함수 모두 엣지 추출에 사용
  • 도함수는 이미지에서 강도의 변화를 측정하는 데 사용된다.
    • Based on first- and second-order derivatives


What is different to

Blur vs. Sharpening

  • Blur:
    • 이미지의 선명도를 줄인다.
    • 고주파 성분을 감쇠시키고, 노이즈를 줄인다.
    • 평균화 또는 저주파 필터링 기법 사용
  • Sharpening
    • 이미지의 선명도 향상
    • 엣지와 같은 고주파 성분을 강조


Integration vs. Derivatives

  • Spatial averaging or Integration (공간 적분)
    • 이미지의 선명도를 줄이고, 전체적인 이미지를 부드럽게
  • Spatial differentiation or Derivatives (공간 미분)
    • 이미지에서 엣지를 강조하여 선명도를 증가.


First Derivative

  • 1차 도함수 특성:
  • 일차 도함수는 인텐시티가 일정한 영역에서는 0 이여야 한다.
    • Must be zero in areas of constant intensity
  • 인텐시티가 급격하게 변하는 부분에서는 일차 도함수의 값이 0이 아니어야 한다.
    • Must be nonzero at the onset of an intensity step or ramp and along intensity ramps
      • Ramp: 픽셀의 인텐시티의 변화폭이 일정하게 변화하는 영역 image
    • 인접한 픽셀 간의 강도 차이


보충 설명:

  • 1차 도함수는 어떤 함수의 기울기를 나타낸다.
  • 픽셀의 인텐시티 변화율
  • 경계나 엣지 감지에서 사용한다. (픽셀의 인텐시티가 급격하게 변화하기 때문)
  • 다시말해, 이미지 내에서 엣지를 감지하고, 그 강도와 방향 정보를 수집


Second Derivative

  • 2차 도함수 특성:
  • 이차 도함수 또한, 인텐시티가 일정한 영역에서는 0이어야 한다.
    • Must be zero in areas of constant intensity
  • 인텐시티가 급격하게 변하는 시작과 끝 지점에서 이차 도함수의 값이 0이 아니어야 한다.
    • Must be nonzero at the onset and end of an intensity step or ramp
  • 인텐시티가 지속적으로 변하는 영역에서는 이차 도함수의 값이 0이어야 한다.
    • Must be zero along intensity ramps image


보충 설명:

  • 2차 도함수는 1차 도함수의 도함수이다.
  • 인텐시티의 변화율
  • 엣지의 시작과 끝. 즉, 엣지의 위치와 그 엣지의 폭을 알 수 있다.
  • 2차 도함수의 값이 양에서 음으로 변하면, 그 위치에서 강도가 증가하는 경향에서 감소하는 경향으로 변화한다.
  • 2차 도함수는 그 변화율이 어떻게 변하는지. 즉, 변화의 변화량을 나타내는 것.
  • 다시말해, 엣지의 시작과 끝을 식별 또는 이미지에서의 패턴 변화를 감지

image

image


Laplacian Filter

  • 라플라시안은 2차 도함수(미분 연산자)를 기반으로 한다.
    • Second-order derivatives for image sharpening
  • 이미지의 두 번째 공간 도함수의 합으로 정의
  • 이미지에서의 강도의 변화를 강조 image
    • $\triangledown^2f$: 라플라시안 연산자
    • $f$: 이미지의 인텐시티 함수
    • x, y: 좌표
    • 수식은 각각 x, y에 대한 두 번째 도함수의 합을 의미.
    • 픽셀의 급격한 인텐시티 변화를 탐색가능
  • Laplacian is isotropic(등방성) derivative operator
    • 이소트로픽 미분 연산자란, 모든 방향에 대해 동일한 응답을 하는 미분 연산자.
    • 이소트로픽 필터는 회전 불변성을 가진 필터로, 필터의 응답이 방향에 독립적이다.
    • 즉, 이미지를 어떠한 방향으로 회전시켜도 필터의 응답이 동일하다.


image


image

  • 각 x 또는 y 방향 도함수. 즉, 이미지의 x 또는 y 방향에 대한 라플라시안 근사치를 나타낸다.
  • f(x+1,y) + f(x-1,y) 값은 각각 (x,y)위치의 픽셀의 오른쪽과 왼쪽 이웃 픽셀의 강도 값을 나타냄
  • f(x,y)는 (x,y) 위치의 픽셀의 강도 값
  • 2차 도함수 값은 이웃 픽셀들의 강도 값과 중심 픽셀의 강도 값을 사용하여 계산된다.


image

image

  • 위 예시에서, 2차원 그리드 상 특정 픽셀 (x,y) 의 라플라시안 값을 계산하기 위한 것.
  • 각 항은 해당 픽셀 주변의 픽셀 인텐시티 값을 나타냄.
  • 중심 픽셀의 인텐시티 값은 -4, 상하좌우의 픽셀 인텐시티는 +1의 가중치가 부여된다.


Highlight Sharp intensity transitions

  • 날카로운 인텐시티 전환 강조
  • 이미지의 경계나 엣지를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해 사용
  • 인텐시티의 변화는 픽셀 값에서 급격한 변화를 나타낸다.

De-emphasize Slowly Varying Intensity

  • 천천히 변화하는 인텐시티 약화
  • 부드러운 변화를 보이는 영역이나, 낮은 대비를 가진 영역을 약화시키는 데 사용
  • Gaussian Blur 와 같은 Low-pass filter 를 사용하여, 낮은 주파수 성분( 부드럽게 변하는 영역)을 약화시킬 수 있다.

Produce Images That Have Grayish Edge Lines

  • 상기 언급된 두 개의 기법을 적절히 조합하거나, 특정한 방법(e.g., Canny edge detector)으로 처리하면,
  • 워논 이미지에서 인텐시티가 급격하게 변하는 부분은 회색조 또는 특정 색상의 엣지로 표현되며,
  • 내부의 인텐시티가 부드럽게 변하는 부분은 약화된다.
  • 엣지와 다른 불연속성이 뚜렷하게 도출된다.

image

image


Recovering Background

  • 배경은 라플라시안 이미지에 원본을 더함으로써 복구될 수 있다.
  • image
    • f(x,y): input image. 각 픽셀 위치에서의 밝기 값
    • g(x,y): output image.
    • $\triangledown^2f(x,y)$: 원본 이미지 $f(x,y)$의 라플라시안.
      • 이미지의 두 번째 공간 도함수.
      • 엣지(인텐시티의 급격한 변화점)을 강조
    • c: 상수; 이미지의 인텐시티를 조절


Scaling

  • Laplacian image 는 대체로 어둡고 특징이 없다는 특징이 있다.
    • Laplacian images tend to be dark and featureless
    • 라플라시안 연산의 결과는 중심 픽셀 주변에 있는 픽셀 값들과의 차이를 나타내기 때문에
    • ‘0’ 으로 편향되는 값을 가지는 경우가 생기기도 한다.
    • 그 결과, 이미지가 전반적으로 어둡고, 중요한 특징이 무시된다.
    • 이 때문에, Scaling 이 필요하다.

Progress

  • 가장 음수 값을 ‘0’으로.
    • most negative value to 0
    • Laplacian image 의 결과는 양수와 음수 값을 모두 가질 수 있다.
    • 따라서, 전체 값을 양수 영역으로 옮기기 위해 모든 값에 절댓값 중 가장 큰 음수 값을 더해준다.
  • 전체 인텐시티 범위를 표시
    • display the full range of intensities
    • 위 프로세스를 거치면, 결과 이미지가 모두 양수 값을 가지지만,
    • 그 값은 여전히 원본 이미지의 픽셀 값 범위 (보통 0-255)에 맞지 않을 수 있다.
    • 따라서, 변환된 값을 다시 0-255 범위로 스케일링 해준다.
    • min-max 스케일링과 동일

image


image


Unsharp Masking

  • 원본 이미지에서 블러된 이미지를 빼 선명도를 높임

Process

  • 원본 이미지를 Blur 화. $(\overline{f}(x,y))$
  • Blur 이미지를 원본 이미지에서 삭제하여 마스크 생성.
    • $g_{\textrm{mask}}(x,y)=f(x,y)-\overline{f}(x,y)$
  • 마스크를 원본 이미지에 추가
    • $g(x,y)=f(x,y)+k_(g_(\textrm{mask}))(x,y)$
    • k: 샤프닝의 정도를 조절하는 계수.
      • k= 1: unsharp masking
      • k > 1: highboost filtering
      • k < 1: reduce the contribution of the unsharp
  • Image sharpening by subtracting smoothed version of an image from original image image


image


Gradient

  • Scalar field (스칼라 공간; 이미지) 에서 벡터 값 변화의 방향과 크기를 나타내는 벡터.
  • First-order derivatives for image sharpening
  • Non-isotropic linear operator

Definition

  • 방향: 함수$f(x,y)$의 최대 변화율의 방향
  • 크기: 해당 방향에서의 변화율 (증가율)


Component (구성 요소)

  • image
    • $g_x=\frac{\delta f}{\delta x}$: x 방향으로의 편미분
    • $g_y=\frac{\delta f}{\delta y}$: y 방향으로의 편미분


Gradient Magnitude (rate of change)

image

  • $= |g_x|+|g_y|$
    • simple to implement, isotropic for multiples of 90’


Means

  • 경계 검출: gradient 의 크기는 영상의 인텐시티 변화가 큰 영역. 즉, 경계를 나타낸다.
  • 방향: gradient 의 방향은 밝은 영역에서 어두운 영역으로의 방향을 나타낸다.

image


image

image


Sobel filter

image

image


Combination of spatial enhancement methods

  • 위 필터들은 목적에 맞게 다양한 부분에서 조합되고, 사용된다.
  • 아래는 그 예시이다.

Laplacian

  • 목적: 미세한 디테일 강조
  • 동작 원리: Laplacian 필터는 두 번째 도함수를 사용하여 이미지의 빠른 강도 변화(예: 에지)를 강조

Gradient

  • 목적: 강한 엣지를 강조
  • 동작 원리: Gradient 방법은 첫 번째 도함수를 이용하여 이미지의 강도 변화율을 찾아낸다.
  • 결과: 명확한 컨투어를 더욱 강조

Intensity Transformation

  • 목적: 동적 범위 증대
  • 동작 원리: 픽셀 강도의 범위 확장 또는 조절로 이미지의 명암 개선
  • 결과: 원하는 특징 검출

E.g.

image

image

Leave a comment