6 minute read

아날로그 이미지를 디지털 형식으로 변환. 주로 샘플링과 양자화를 통해 이루어짐

Image Digitization



  • 샘플링 및 양자화를 통한 디지털 영상 생성
    • 샘플링: 연속적인 아날로그 영상을 일정간격으로 수치화
    • 양자화: 각 새믈의 값을 정해진 수치로 대응 image


Sampling & Quantization

  • Convert the continuous sensed data into a digital format
  • Sampling: Digitizing the coordinate values
  • Quantization: Digitizing the amplitude values image


  • Sampling and quantization on the 2D sensor array image


Sampling

  •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영상으로 표현하기 위해 샘플링 신호로 추출
  • 공간 생플링
    • 픽셀을 하나의 데이터로 표현
  • 시간 샘플링
    • 연속적인 시간을 특정 주기의 시간으로 나누어 영상을 취득 image


Quantization

  • 영상 신호의 진폭 값을 디지털 화
  • 샘플링 된 값을 일정 길이의 비트로 표현 image


Assume a Digital Image $f(x,y)$

  • $x,y$ : Discrete coordinates with M rows and N columns
  • $f(x,y)$ : Value of digital image
  • Representation of $f(x,y)$

AM


Pixel and Resolution

Pixel

  • 디지털 영상을 구성하는 최소 단위 (화소)


Resolution

  • 영상의 가로 x 세로 값 image


  • Spatial resolution
    • The smallest discernible detail in an image
    • Dots (pixels) per unit distance
    • Matrix size is not the spatial resolution image
  • Intensity resolution
    • The smallest discernible changes in intensity level image


Relationships between pixel

Neighbors of a pixel

  • Consider a pixel $p$ at coordinates $(x,y)$
    • Two horizontal/vertical neighbors $[N_4(p)]$:
      • $(x+1,y),(x-1,y),(x,y+1),(x,y-1)$
    • Four diagonal neighbors $[N_D(p)]$:
      • $(x+1,y+1),(x+1,y-1),(x-1,y+1),(x-1,y-1)$
    • $N_8(p):~N_4(p) \&\& N_D(p)$


Adjacency

픽셀 간의 인접 관계는 픽셀들이 어떻게 서로 연결되어 있는지를 정의합니다. 이는 객체의 경계를 찾거나, 영역을 세분화(segmentation)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.

  • 4-adjacency: Two pixels $p$ and $q$ are 4-adjacent if $q$ is in the set $N_4(p)$
    • $N_4(p)$는 픽셀 $p$ 에 대해 수평 및 수직으로 인접한 픽셀들의 집합을 의미합니다. 즉, 상하좌우로 인접한 픽셀들입니다.
  • 8-adjacency: Two pixels $p$ and $q$ are 8-adjacent if $q$ is in the set $N_8(p)$
    • 픽셀 $p$ 에 대해 수평, 수직, 대각선으로 인접한 픽셀들의 집합을 의미합니다. 즉, 상하좌우 및 대각선으로 인접한 픽셀
  • m-adjacency (mixed adjacency): Two pixels $p$ and $q$ are m-adjacent if
    • $q$ is in $N_4(p)$ or
    • $q$ is in $N_D(p)$ and the set $N_4(p)\cap N_8(p)$ has no pixels
    • 위 두 조건중 하나를 만족해야 한다.
    • 일반적으로 대각선으로 인접한 픽셀들의 집합
    • 4-adjacency 와 8-adjacency 의 혼합

image


image


Digital path (curve)

  • Sequence of distinct pixels
    • E.g., Path from pixel $p$ with coordinates $(x_0,y_0)$ to pixel $q$ with $(x_n,y_n)$
      • $(x_0,y_0),(x_1,y_1),…,(x_n,y_n)
      • $(x_i,y_i)$ and $(x_{i-1},y_{i-1})$ are adjacent
      • Length of the path: $n$
      • Closed path: $(x_0,y_n)=(x_n,y_n)$


Connectives

  • Connected : Two pixels $p$ and $q$ have a path
    • 두 픽셀이 연결되어 있다면, 이들의 경로가 필요하다.
    • 이 경로는 일련의 픽셀로 이루어져 있으며, 각각의 연속된 픽셀 쌍은 서로 인접해야 한다.
  • Connected component: Set of pixels that are connected
    • 연결된 픽셀간의 집합으로, 집합 내 모든 픽셀 쌍에 대해 어떤 경로가 존재하면, 그 집합은 연결 성분이라고 한다.
    • 연결 성분 내 모든 픽셀은 서로 연결되어 있으며, 성분 외부의 픽셀과는 연결되어 있지 않다.
  • Connected set(= region): There is only one connected component
    • 연결된 픽셀들의 집합을 지칭하며, 이는 일반적으로 영상 내에서 동일한 특성(예: 색상, 강도)을 공유하는 픽셀들로 구성된다.
    • “Region”이라는 용어는 종종 연결된 픽셀들의 집합이 동일한 속성이나 특성을 가지고 있음을 의미하는 데 사용됩니다. 예를 들어, 같은 색의 영역이나 같은 질감의 영역 등이 있다.
  • 객체를 식별하고 분리하는 데 사용되며, 특히 영상 분할(image segmentation)과 객체 레이블링(object labeling)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.
  • 연결된 구성 요소를 식별하고 분석하는 알고리즘은 다양하며, 그 중 일부는 깊이 우선 탐색(DFS), 너비 우선 탐색(BFS), 유니온-파인드(Union-Find) 등이 있디.


Region: Connected set

  • Disjoint : Not adjacent regions
    • K개의 분리된(disjoint) 영역들로, 이들 영역은 서로 겹치거나 인접하지 않는다.
  • Foreground & Background
    • suppose $K$ disjoint regions $R_k, k=1,2,…,K$
    • $R_u$: Union of all the $K$ regions
      • 모든 $K$ 영역들의 합집합(Union).
    • Foreground: $R_u$
      • 모든 관심 영역의 합집합
    • Background: $(R_u)^c$
      • $R_u$ 의 여집합(complement)입니다. 즉, 전체 이미지 영역에서 $R_u$ 를 제외한 부분입니다.


Boundary (Border or Contour)

  • Set of pixels in the region
    • That have at least one background neighbor
  • Consider inner & outer border
    • for developing border-following algorithms

Boundary & Edge

  • Boundary : Closed path & more global concept
    • 객체의 외곽선을 형성하는 픽셀들의 집합을 지칭합니다. 바운더리는 객체의 형태와 크기를 나타내는 데 사용되며, 객체 인식과 분할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.
    • 바운더리 추출은 이미지에서 객체의 외곽을 찾는 과정으로, 이는 엣지 검출을 기반으로 하거나, 세그멘테이션(segmentation) 결과를 기반으로 할 수 있다.
    • 바운더리는 객체의 형태를 분석하거나, 객체를 다른 이미지로 오버레이(overlay) 하는 데 사용한다.
  • Edge : Could from open path via thresholding & more local concept
    • 이미지에서 밝기의 급격한 변화가 발생하는 지점을 지칭한다.
    • 이 변화는 일반적으로 객체의 경계와 배경 사이, 또는 이미지 내의 두 개의 다른 영역 사이에서 발생
    • 엣지 검출은 이러한 밝기의 변화를 찾아내는 과정으로, 이는 대개 그래디언트 계산을 포함한다.
    • 엣지는 이미지의 주요 특징을 추출하고 분석하는 데 사용되며, 엣지 검출 알고리즘의 예로는 위에서 언급한 소벨 필터, 라플라시안 필터, 캐니 엣지 검출기 등이 있다.

엣지는 이미지에서 밝기의 변화를, 바운더리는 객체의 외곽을 나타낸다. 엣지는 이미지 전체에서 찾아질 수 있는 반면, 바운더리는 특정 객체의 외곽선에만 국한된다. 또한, 바운더리는 대개 연속된 픽셀의 집합으로, 객체의 형태를 따라간다.


Distance measure

  • Consider pixels $p,q$ and $s$ with coordinates $(x,y), (u,v)$ and $(w,z)$
  • Distance function (D):
    • $D(p,q)\geq 0(D(p,q)=0 if p=q)$
    • $D(p,q) = D(q,p)$
    • $D(p,s)\leq D(p,q)+D(q,s)$
  • Euclidean distance
    • $D_e(p,q)=[(x-u)^2+(y-v)^2]^{\frac{1}{2}}$
  • City-block distance
    • $D_4(p,q)=|x-u|+|y-v|$
  • Chessboard distance
    • $D_8(p,q)=\textrm{max}(|x-u|,|y-v|)$


Basic Mathematical tools



Elementwise operation

  • Pixel-by-Pixel basis image


Linear vs. Non-linear operations

image


Average operation

  • Average multiple noisy images may yield clear image image


Subtraction operation

image


Multiplication / division operations

  • Shading correction image


  • Masking image


Spatial Operations

Spatial Operations 는 이미지의 픽셀을 다루는 연산이다.


Single-Pixel Operation (단일 픽셀 연산)

  • Alter the pixel intensity $(x)$ using a transformation function $T:s=T(z)$
    • s = 출력 픽셀의 밝기, z = 입력 픽셀의 밝기, T = 변환 함수
  • 목적: 특정 픽셀의 밝기 (intensity) 를 변경한다.
  • 이 연산은 이미지의 각 픽셀의 밝기를 독립적으로 변환. 전체 이미지의 밝기 및 대비 조절.


Neighborhood operations (이웃 픽셀 연산)

  • Generates a pixel at the same coordinates in an output image
  • Value of that pixel is determined by a specified operation on the neighborhood of pixels in the input image
  • 목적: 출력 이미지의 특정 픽셀 값을 입력 이미지의 해당 픽섹의 이웃 픽셀의 값을 이용해 결정.
  • Blur 또는 Edge detection 연산에서 사용

image


Geometric transformations (기하학적 변환)

사상 (Mapping)

  • 화소들의 배치를 변경할 때, 입력 영상의 좌표에 해당하는 해당 목적 영상의 좌표를 찾아, 화소를 옮기는 과정
순 방향 사상
  • 원본 영상의 좌표를 중심으로 목적 영상의 좌표를 계산하여 화소의 위치를 변환하는 방식
  • hole 또는 overlap (빈 픽셀) 문제 발생 image
    • hole: 입력 영상의 좌표들로 목적영상의 좌표를 만드는 과정에서 사상되지 않은 화소; 확대 및 회전시 주로 발생
    • overlap: 원본 영상의 여러 화소가 목적영상의 한 화소로 사상; 축소할 때 주로 발생


역 방향 사상
  • 목적영상의 좌표를 중심으로 역 변환 계산.
  • 오버랩이나 홀이 발생하지 않는다.
  • 영상 품질이 떨어질 수 있다. image


Spatial Transformation of Coordinates (좌표의 공간 변환)

  • 이미지의 픽셀을 이동시키는 것 image
    • T: 변환 행렬, (x,y): 원본 좌표, (x’,y’): 변환된 좌표


Intensity Interpolation (밝기 보간)

  • 일반적으로 영상 확대 시: resolution 확대
  • 공간 변환 후 새로운 좌표에 밝기 값을 할당
  • 공간 변환으로 인해 픽셀이 이동하면, 새로운 위치에서의 픽셀 밝기 값을 결정해야 한다.
  • 이때, 보간법(Interpolation)을 사용하여 주변 픽셀의 밝기 값으로부터 새 픽셀의 밝기 값을 추정합니다.
  • 순방향 사상: 홀이 발생
    • 역방향 사상을 통해 홀의 화소를 찾고, 오버랩 되지 않게 화소를 배치 image


Nearest Neighbor (최근접 이웃)
  • 원리: 변환된 위치에서의 픽셀 값은 원본 이미지에서 가장 가까운 픽셀의 강도 값을 가진다.
  • 특징: 계산 비용이 낮고 간단하지만, 직선 모서리에서 왜곡이 발생할 수 있다. image


Bi-linear Interpolation (양선형)
  • 원리: 변환된 위치에서의 픽셀 값은 주변 네 개의 픽셀 강도 값에 가중치를 둔 합으로 계산된다.
  • $v(x,y)=ax+by+cxy+d$
  • 최근접 이웃 방법에 비해 경계가 부드럽지만, 계산 비용이 더 높다. image image


Bicubic (양입방)
  • 원리: 변환된 위치에서의 픽셀 값은 주변 열 여섯개의 픽셀 강도 값에 가중치를 둔 합으로 계산된다.
  • $v(x,y)=\sum_{i=0}^{3}\sum_{j=0}^{3}a_{ij}x^iy^j$
  • 특징: 양선형 방법에 비해 더 부드러운 이미지를 생성하지만, 계산 비용이 가장 크다.

image


Affine Transformation (어파인 변환)

  • 종류: Scaling (확대/축소), Translation (이동), Rotation (회전), Shearing (기울임)
  • 표현: 동차 좌표 (homogeneous coordinates)를 사용하여 아핀 변환을 표현합니다.
  • 설명: 아핀 변환은 이미지를 선형적으로 변환하고, 이동시키는 연산. 이는 이미지의 기하학적인 형태를 변경하지만, 직선의 평행성은 유지한다.

  • 추가설명: Affine Transform
  • Rotation

image


Image registration (이미지 정합)

  • 목적
    • 입력 이미지를 기하학적으로 변환하여 참조 이미지와 정렬(등록)된 출력 이미지를 생성한다.
    • 이미지간 정량적인 분석과 비교를 수행
    • 다양한 상황에서 이미지 간의 기하학적인 관계를 찾아서 이미지를 정렬하는 과정이다.
  • 고려사항
    • 기하학적 왜곡
  • 예시
    • 다른 이미징 시스템의 이미지
    • 동일한 기기로 다른 시간에 촬영된 이미지
  • 절차
    1. 특징 추출: 이미지에서 관심 영역이나 점을 찾는다.
    2. 특징 매칭: 한 이미지의 특징과 다른 이미지의 특징을 매칭한다.
    3. 변환 모델 추정: 매칭된 특징 점들을 기반으로 이미지 간의 기하학적 환계를 추정한다.
    4. 이미지 변환과 병합: 추정된 변환 모델을 사용하여 이미지를 정합하고, 필요한 경우 병합한다.

image


image


Leave a comment